공학도의 공부와 일상

행복한 일상을 꿈꾸며

반응형

mechanism 3

콘크리트의 수화열 발생시간(수화열 발생 Mechanism, 수화반응식, 혼화재(Flyash) 첨가 시 수화열)

□ 수화열 ○ 용어 시멘트가 응결, 경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으로 시멘트가 물과 완전히 반응하면 125 cal/g의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수화열이라 함 ○ 흑연과 다이아몬드 다들 아시다시피 흑연과 다이아몬드는 같은 탄소로 이루어졌지만 생성과정에서 받는 압력과 열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는 동소체입니다. 고온에서 고압을 받은 탄소가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생성단계에서 온도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 것, 우리의 콘크리트고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은 콘크리트의 수화열의 발생시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수화열 가. 발생 Mechanism - 수화반응은 시멘트 입자에 물이 스며들며 발생하게 됨 - 물이 닿는 외부부터 내부로 진행됨 나. 수화반응식 - 수화반응에서 약 125 cal/g의 열이 발생..

기술사 공부 2023.03.13

콘크리트의 관리(고성능콘트리트+폭열현상+Mechanism)

□ 폭열현상 - Spalling failure (Explosive fracture) ○ 콘크리트 부재가 화재 가열을 받아 표층부가 소리를 내어 박리할 때 등의 급격한 파열 현상. 콘크리트 부재의 내화 성능을 나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1. 원인: 콘크리트는 수화반응을 통하여 강도발현을 한다. 과정에서 불필요한 잉여수가 내부에 남게 되는데 그런 수분이 사고/화재 등에 의한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기화되면서 높은 압력이 발생하며 콘크리트가 내부에서 터져나가게 된다. 2. 화재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화 과정(수분) 가. 콘크리트에 적절한 가열을 통해 잉여수 즉, 자유 공극수를 제거할 수 있으면 고품질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나. 하지만 콘크리트는 재료적 특성상 열전도율이 매우 낮기에 쉽지 않은 ..

기술사 공부 2023.02.26

콘크리트의 Mechanism, 재료적 특성(수화열, 재료, 배합, 시공+대책)

□ 콘크리트 ○ 명사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골재 따위를 적당히 섞고 물에 반죽한 혼합물로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통해 강도가 발현되어 굳어지는 재료 콘크리트는 인간에게 의식주 중 주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 1등 공신인 재료이다. 특히, 철근과 열팽창계수가 거의 같아 인장력을 담당하는 철근과, 압축력을 담당하는 콘크리트를 통해 튼튼한 구조물 형성이 가능하다.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많은 이산화탄소 발생과 석회 소진과 같은 환경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지만, 이를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등과 같은 재료 등으로 산업부산물 재활용을 통하여 조금은 더 친환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1. 콘크리트 가. Con'c의 요구 조건 1) 굳지 않은 Con'c: Workability(작업성: 작업 용이성 + 재료 분리 저항성), Fi..

기술사 공부 2023.02.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