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도의 공부와 일상

행복한 일상을 꿈꾸며

반응형

boiling 2

토공 중 흙의 문제(Boiling과 Heaving, Bulking과 Swelling)

□ 토류벽 ○ 용어 절토 및 성토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벽 토류벽은 옹벽과 비슷하지만 보통 현장에서 쓰이는 임시 흙막이를 말합니다. 토류벽 배면과 저면의 수위 차이와 같은 힘의 차이가 발생하면 힘의 균형이 무너지고, 그로 인하여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Boiling과 Heaving 1. Boiling 가. 정의: 흙파기 저면이 사질지반일 때 모래입자와 지하수가 부풀어 올라 지반이 파괴되는 현상 나. 원인: 흙막이벽의 근입 깊이 부족, 배면의 높은 지하수위, 굴착저면의 양호하지 못한 지반과 하부 피압수 2. Heaving 가. 정의: 흙막이나 흙파기를 할 때 배면의 흙이 안으로 밀려 들어와 굴착 저면 바닥이 불룩하게 솟아오르는 현상으로 지반이 연약한 점성토에서 흔히 나타나며 팽상현상이라고도 함 나...

기술사 공부 2023.03.09

토공 중 흙의 문제(액상화, Piping+Boiling)

□ 물 ○ 명사 자연계에 강, 호수, 바다, 지하수 따위의 형태로 널리 분포하는 액체. (중략) 공기와 더불어 생물이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다. 물은 인간, 생명체에게 아주 중요한 물질입니다. 인간은 음식 없이는 약 3주간 버틸 수 있지만 물 없이는 3일밖에 버티지 못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물이 흙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앞글에서 말씀드렸듯 물의 포함 정도에 따라, 함수비에 따라 흙은 고체 → 반고체 → 소성 → 액성 의 상태로 표현됩니다. 흙이 점착력을 가지며 강도를 가지기 위해선 소성한계와 액성한계의 사이인, 소성상태여야 합니다. 하지만 액성상태가 되면 곤죽처럼 형태가 없어지고 반고체 상태 이하의 함수비에서는 점착력이 없는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물이 '적당히' 포함되어야 합..

기술사 공부 2023.03.08
반응형